조회 수 209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 음주문제 선별

   (1) 일차의료에서 음주 문제 선별의 필요성

      2005NIAAA는 모든 환자에게 음주 여부를 물은 후 위험음주(과음이나 폭음)

      에 해당하는지 조사를 권유합니다.

      2008USPSTF는 일차의료에서 임신 여성을 포함한 모든 성인에게 알코올 사용

           장애에 대한 선별검사와 중재를 실시할 것을 권고하였습니다.

                 미국의학협회, Camadian Task Force on Preventive Heath Care는 모든환자

            에게 알코올 사용장애에 대해 선별하여 단기 상담 중재를 실시하라고 합니다.

      2008American College of Obstericians and Gynecologists는 임신이거나

            임신을 계획하는 모든 여성에게 알코올이 태아에게 미치는 해로운 영향과 단주

            가 가장 안전하다는 것임을 상담하도록 권고하였으며

            미국소아과학회는 이에 거하여 일상적인 위험행동 평가시에 음주와 약물의

            위험성에 대해 부모와 상의할 것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미국소아과학회와 미국의학회의 Guidelines for Adolescent Preventive

      Services는 모든 소아와 청소년들에게 음주여부를 물어야 하며, 부모에게

            단주를 충고할 것을 권합니다.

 (2) 일차진료에서 음료문제 선별검사의 실지적인 효과가 적은 이유 

          표준화된 사후 조치 프로그램이 없이 단순리 음주문제를 선별하는 것은 효과적

          이고 충분한 치료로 이어지지 못하기 때문에 고도의 알코올 사용장애의 경우는

          효과가 없습니다.          

 (3) 음주문제 선별검사 방법 권고안

          미국 NIAAA는 음주문제 선별을 위한 가장 간편한 3가지 질문을 제안하였습니다.  

           ① 주당 평균 음주횟수 1회 평균 음주량 1회 최대 음주량을 물어서 음주

          습관이 위험음주인지, 적절음주인지 확인하는 것입니다.

          음주량은 알코올 14g을 표준한잔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계산은 술의량(ml)X 술의 도수(%)X 알코올비중(0.79) 공식을 이용합니다.

     양주(45ml), 포도주(150ml), 맥주(350~360)이 정도입니다.

          양주와 포도주는 각각의 잔으로 한잔에 해당되며, 캔맥주는 1, 작은병맥주

          1,생맥주는 350ml, 20% 소주는 1/4(90ml),막걸리는 막걸리 사발로 1사발

          (300ml)등입니다.

          한국인에서 음주량과 심혈관질환 위험도, 알코올과 고혈압, 인슐린저항성,

     대사증후군, 음주량과 호모시스테인, 음주량과 음주 표지자와 관련성은 살핀

          연구를 보면 적절음주는 표준한잔(알코올 14g)을 기준으로 일주일에 남성 8

          (소주 2)이하, 여성 4(소주 1)이하였습니다.

          알코홀 분해능이 떨어지는 사람 즉 음주 후 즉시 안면홍조가 발생하는 사람들은

          비홍조군의 절반에 해당하는 음주량(일주일에 남성 4잔 이하, 여성 2잔 이하)

          적절한 음주량입니다.

과음 기준(일주일 음주량)

 

미국

한국

성인 남성

14<

8(4)<

성인여성, 65세 이상남성

7<

4(2)<

65세 이상 여성

3<

2(1)<

( ):비활성형(ALDH)인 경우 즉 음주 후 즉각적인 안면홍조가  발생 하는 사람들

        또 1회 최대 음주량의 기준을 초과할 때 폭음이라고 합니다.

        과음은 신체적인 질병이 발생할 위험이 높고, 폭음은 사고 또는 정신사회적인

        문제가 발생할 위험이 높습니다.

        폭음은 남성 4잔 이상, 여성 3잔 이상으로 정의 합니다.

        국내에서 타당성연구가 이루어진 음주문제 선문지로는 AUDIT, CAGE, MAST 등이

       있습니다.

    CDT(carbohydrate - deficient transferrin), GGT(gamma - glutamyl

    transferase), MCV(mean corpuscular volume), AST(asparate transaminase),

        중성지방 등의 생물학적 지표들을 활용하여 음주문제 선별을 보조합니다.

 


                                       출처: 일차진료의를 위한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가이드라인(2).대한가정의학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07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Ⅲ. 신체활동 - 2.본론2) ADVISE (3) 준비운동과 정리운동 원칙 (4) 65세 이상 노인에서의 신체활동 원칙 김병광 2018.02.10 2143
406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Ⅲ. 신체활동 - 2. 본론 2) ADVISE (1) 유산소 운동 원칙 (2) 근력운동 원칙 김병광 2018.02.09 2143
405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Ⅲ. 신체활동 - 2. 본론 1) 신체활동을 평가하기(ASSESS) 김병광 2018.02.08 2069
404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Ⅲ. 신체활동- 1. 서론 김병광 2018.02.08 2049
403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Ⅲ. 신체활동- 권고사항 김병광 2018.02.06 2040
402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Ⅱ. 음주- 2. 본론 6) 음주 문제 및 상담치료 7) 음주 문제 환자의 의뢰 김병광 2018.02.05 2091
401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Ⅱ. 음주- 2. 본론 4) 가족 중심의 진료 접근 5) 약물치료 김병광 2018.02.05 2113
400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Ⅱ. 음주- 2. 본론 3) 일차의료에서 음주 문제에 대한 평가와 개입 김병광 2018.02.01 2105
»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Ⅱ. 음주- 2. 본론 2) 음주문제 선별 김병광 2018.01.30 2090
398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Ⅱ. 음주- 1. 서론 2. 본론 1) 역학 및 임상적 특징 김병광 2018.01.30 2046
397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Ⅱ. 음주- 권고사항 김병광 2018.01.26 2002
396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Ⅰ. 금연- 2. 본론 4) 금연상담 김병광 2018.01.26 2107
395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Ⅰ. 금연- 2. 본론 3) 금연약물요법 김병광 2018.01.25 2072
394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Ⅰ. 금연- 2. 본론 3) 금연약물요법 김병광 2018.01.24 2065
393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Ⅰ. 금연- 2. 본론 2) 니코틴 의존도 평가 김병광 2018.01.21 2046
392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Ⅰ. 금연- 2. 본론 1) 금연진료지침 김병광 2018.01.21 2054
391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Ⅰ. 금연- 1. 서론 김병광 2018.01.21 2024
390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생활습관 Ⅰ. 금연- 권고사항 김병광 2018.01.21 2097
389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기타 관련 질환 Ⅱ. 수면무호흡증 2. 본론 8) 치료 김병광 2018.01.20 2105
388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기타 관련 질환 Ⅱ. 수면무호흡증 2. 본론 5) 페쇄성 수면무호흡증의 검사 및 적응증, 병리기전, 동반질환 김병광 2018.01.19 2133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