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론
2016년 발표된 통계청의 자료에 의하면 2014년 현재 한국인의 사망원인 1위는
암이고 2위는 심뇌혈관질환으로 이는 전체 사망자의 절반 이상을 차지합니다.
이중 심장질환의 경우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고 뇌혈관질환은 감소하는 추세
지만, 식습관의 서구화와 인구의 고령화로 인해 지난 10년간 꾸준히 발생률을 기록
하고 있으며 향후에도 이러한 추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심뇌혈관질환은 발병에 그 위험요소를 적절히 관리함으로써 상당부분 예방이 가능
할 뿐 아니라 발병 이후의 여명도 짧지 않기 때문에 그것의 예방은 보건학적 측면에
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습니다.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를 위한 권고안은 대부분 생활습관의 교정과 위험인자에
대한 예방 및 관리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위험질환에는 비만, 고혈압,
당뇨 및 고지혈 등이 해당되는 데, 심뇌혈관질환 발생의 위험성은 이중 한 가지
요소가 심할 경우뿐 아니라, 심하지는 않지만 여러 요소를 동시에 가지고 있는 경우
도 증가합니다.
아스피린은 1897년에 개발되었으나, 소염진통작용 이외에 항혈소판 응집효과가
밝혀진 것은 불과 30여년전입니다. 이후 많은 임상연구를 거치면서 심뇌혈관질환
의 이차예방은 물론, 일차예방에 있어서도 아스피린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심뇌혈관질환의 증거가 없는 건강한 사람의 경우에는 아스피린의 부작용과
심뇌혈관질환의 발생위험도을 고려해서 처방해야 합니다. 특히 한국인의 경우
서양인에 비해 뇌출혈의 발생이 상대적적으로 높기 때문에 아스피린과 같은 항혈
전약물의 처방 시 더욱 세심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출처: 일차진료의를 위한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가이드라인(2판).대한가정의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