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 본론

  1) 고혈압의 진단

     진료실에서 혈압을 측정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백의 고혈압이나 가면고혈압의

     가능성에 대하서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가정혈압과 기존 진료실 혈압보다 고혈압 환자의 심혈관 발생을 예측하는데

     더 유용합니다.

     가정혈압 및 활동혈압 측정이 필요한 경우는

       ① 백의/가면 고혈압이 의심될 때와

       ② 진료실 혈압의 변동이 심하거나

       ③ 약제 치료에 반응이 적을 때이고

     활동혈압 측정은 낮 시간에 활동할 때와 수면 중의 혈압에 대한 정보를 제공

     합니다.

     혈압측정 시 손목 측정용 혈압계는 혈압변동성이 있을 수 있어 위팔혈압계의

     사용이 권고되며

     혈압 측정은 ① 아침기상 후 1시간이내

                 ② 고혈압 약물을 복용하기 전에

                 ③ 배뇨 후에 측정하거나

                 ④ 저녁 잠자리에 들기 전에 앉은 자세에서 최소 1-2분 안정 후

                    측정합니다.

※ 백의 고혈압과 가면고혈압을 의심해야 하는 상황

백의 고혈압

가면고혈압

① 정의 - 진료실 혈압이  

   140/90mmHg 이상이면서 가정혈압

   또는 주간 활동혈압이 135/85 

   mmHg 미만인 경우

② 진료실에서 1기고혈압 정도로

  고혈압의 정도가 심하지 않으며

  긴장에의해 일시적으로 혈압상승

  을 배제할 필요가 있을 때

③ 진료실 혈압이 높지만 표적장기

   손상이 없으며, 기타의 심혈관

   위험도가 높을 때

① 정의 - 진료실 혈압이  

   140/90mmHg 미만이지만 가정혈압

   또는 평균 주간 활동혈압이 

   135/85mmHg 이상인 경우

② 진료실 혈압이 정상이나 표적장

   기 미세손상이 있거나 심혈관

   위험도가 높을 때

③ 진료실에서 혈압이 경계선 일 때

 

※ 가정혈압 및 활동혈압의 고혈압 진단기준

수축기 혈압(mmHg)

이완기 혈압(mmHg)

진료실 혈압

≥ 140

≥ 90

24시간 활동혈압

일일 평균 혈압

주간 평균 혈압

야간 평균혈압

≥ 130

≥ 135

≥ 120

≥ 80

≥ 85

≥ 70

가정혈압

≥ 135

≥ 85

 

※ 혈압의 분류

혈압분류

수축기 혈압(mmHg) 이완기 혈압(mmHg)

정상혈압*

〈 120 그리고 〈 80

고혈압 전단계 1기

              2기

120 - 129 또는 80 - 84

130 - 139 또는 85 - 89

고혈압        1기

              2기

140 - 159 또는 90 - 99

≥ 160 또는 ≥ 100

수축기 단독고혈압

≥ 140 그리고 〈 90

 

◎ 정상혈압이란 심혈관질환의 발병위험이 가장 낮은 최적혈압입니다.

   기립성 저혈압이란 일어선 후 3분 이내 측정한 혈압이 앉은상태의 혈압에

   비해 수축기 혈압이 20mmHg 또는 이완기 혈압이 10mmHg 이상 감소한 경우를

   말합니다.

                          출처: 일차진료의를 위한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가이드라인(2판).대한가정의학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1.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Ⅰ. 고혈압 2.본론 2) 고혈압 환자평가

  2.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 1 .고혈압 2.본론 2) 고혈압 환자 평가

  3.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 1 .고혈압 2.본론 1) 고혈압 진단

  4.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Ⅰ. 고혈압 1.서론

  5.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주요질환 1 .고혈압-권고사항

  6. 골다공증의 약물치료 Ⅶ. 부갑성선 호르몬 Ⅷ. 결론

  7. 골다공증의 약물치료 Ⅵ. 에스트로겐

  8. 골다공증의 약물치료 Ⅴ. 데노수맙

  9. 골다공증의 약물치료 Ⅳ.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제

  10. 골다공증의 약물치료 Ⅲ. 비스포스포네이트

  11. 골다공증 약물치료 Ⅱ. 칼슘과 비타민D

  12. 골다공증의 약물치료 Ⅰ.서론

  13. 골다공증 진료지침 2015년

  14.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IX. 환자 관리

  15.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Ⅷ. 잠복결핵감염 6. 장기이식 환자에서 잠복결핵감염 진단 및 치료

  16.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Ⅷ. 잠복결핵감염 5. TNF 길항제 관련 잠복결핵감염의 진단 및 치료

  17.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Ⅷ. 잠복결핵감염 4. 잠복결핵감염의 치료

  18.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Ⅷ. 잠복결핵감염 3. 잠복결핵감염의 치료대상자 선정

  19.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Ⅷ. 잠복결핵감염 2. 잠복결핵감염 진단 방법

  20. 결핵 진료지침 권고 요약(개정판) Ⅷ. 잠복결핵감염 1. 잠복결핵감염의 정의 및 국내현황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