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Ⅲ. 당뇨병과 합병증

 2. 당뇨병 신증 ①

 권고적용군

제2당뇨병환자

진료환경

외래

 중재/실행지표

알부민뇨(소변 알부민/크레아티닌 비) 및

혈청 크레아티닌(사구체여과율) 검사

 비교지표

알부민뇨(소변 알부민/크레아티닌 비) 및

혈청 크레아티닌(사구체여과율) 검사 미 시행

 결과물

당뇨병성 신증 진단

 .

                                    권고 내용

 • 제2형 당뇨병환자는 진단 당시부터 매년 당뇨병성 신증의 선별 검사를 고려

   한다.1)

 • 선별검사는 알부민뇨(소변 알부민/크레아티닌 비)와 혈청 크레아티닌을

   측정하여 계산한 사구체여과율(eGFR)을 고려한다.2)

 • 3개월 이상 알부민뇨가 30 mg/g 이상이거나

   사구체여과율이 60 mL/min/1.73 m2 미만인 경우 당뇨병성 신증 진단을 고려한

   다.3)

 • 아래의 경우, 당뇨병성 신증 이외의 다른 질환들도 고려한다.4)

     ① 당뇨병성 망막증이 없는 경우

     ② 사구체여과율이 급속히 떨어지는 경우

     ③ 단백뇨가 급격히 증가하거나 신증후군의 양상을 보이는 경우

     ④ 고혈압이 조절되지 않는 경우

     ⑤ 소변검사상 혈뇨 등 이상을 보이는 경우

     ⑥ 다른 전신질환의 증세가 보이는 경우

     ⑦ 혈뇨가 동반되는 경우

     ⑧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나 안지오텐신수용체 차단제 투약 후

        2-3개월 이내에 사구체여과율이 30% 이상 감소하는 경우

  ☎ 1) :제2형 당뇨병환자들은 당뇨병의 발병시기가 모호하며, 진단 당시부터

         신증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

         한 연구에서 의하면 진단 당시 당화혈색소가 7-8%인 환자에서

         미세알부민뇨(microalbuminuria)나 거대알부민뇨가 동반될 수 있으며,

         고혈압 및 심혈관질환을 가지고 있는 경우도 흔하고,

         신증의 동반 시 심혈관질환의 위험도가 2-3배 증가하게 됩니다.

         따라서 처음 병원을 방문했을 때부터 당뇨병성 신증의 선별검사를 해야

         합니다.

     2) :당뇨병성 신증의 가장 초기에 나타나는 임상 소견은 미세알부민뇨이며,          요중 알부민의 양이 30-300 mg/일인 경우로 정의합니다.

         알부민뇨의 정량적 검사는 무작위 소변에서 크레아티닌과 알부민을 

         측정하여, 그 비(알부민/크레아티닌 비[albumin/creatinine ratio,

         ACR])를 이용합니다.

         이때 알부민의 단위는 mg, 크레아티닌은 g임에 주의해야 합니다.

         일반적인 소변 dipstick검사에서 음성의 결과를 보이더라도 미세알부민

         뇨를 배제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매년 소변에서 ACR을 측정해야 한다.

         ACR이 30 mg/g 이상인 경우 3~6개월 이내 반복검사를 해서 총 3회 중

         2회 이상에서 양성인 경우 알부민뇨가 있다고 판정합니다.

     3) :이전 연구에서 당뇨병이 동반된 성인에서 30% 정도의 환자에서는

         미세단백뇨나 당뇨병성 망막병증 없이 신기능의 저하가 동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소변 ACR 검사뿐만 아니라 혈청 크레아니틴을 이용한

         사구체여과율도 매년 측정해야 합니다.

         혈청 크레아티닌을 바탕으로 MDRD공식이나 CKD-EPI공식을 이용하여

         사구체여과율을 추정할 수 있습니다.

     4) :제2형 당뇨병환자들은 죽상경화증으로 인한 신동맥협착을 드물지 않게 

         동반하며, 이런 경우 신증의 진행을 지연하기 위해 사용한

         레닌-안지오텐신계 차단제가 오히려 급격하게 신기능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런 약제 투여 후 사구체여과율이 심하게 감소한다면

         신동맥협착을 의심해봐야 합니다.

                                              


                                                                                           - 대한의학회 -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27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Ⅰ. 우울증 Ⅱ. 본론 5. 우울증의 치료 김병광 2017.06.09 2743
326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Ⅰ. 우울증 Ⅱ. 본론 5. 우울증의 치료 김병광 2017.06.15 3025
325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Ⅰ. 우울증 Ⅱ. 본론 5. 우울증의 치료 김병광 2017.06.22 4044
324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Ⅰ. 우울증 Ⅱ. 본론 4. 우울증의 진단 김병광 2017.06.09 2859
323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Ⅰ. 우울증 Ⅱ. 본론 3. 우울증의 선별검사 김병광 2017.06.08 2851
322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Ⅰ. 우울증 Ⅱ. 본론 1. 우울증이 심뇌혈관질환을 증가시키는 기전2. 일차의료 우울증의 특징 김병광 2017.06.08 2877
321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Ⅰ. 우울증 Ⅱ. 본론 5. 우울증의 치료 김병광 2017.06.22 3833
320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Ⅰ. 우울증 1. 서론 김병광 2017.06.07 3517
319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Ⅰ. 우울증 - 권고사항 김병광 2017.06.07 2786
318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 Ⅲ. 스트레스 -1. 서론 김병광 2018.01.13 2005
317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 Ⅲ. 스트레스 - 권고사항 김병광 2018.01.12 1978
316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 Ⅲ. 스트레스 - 2. 본론 김병광 2018.01.15 1990
315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 Ⅱ. 불안증 - 권고사항 김병광 2017.11.29 2858
314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 Ⅱ. 불안증 - 3. 불안장애의 치료3) 약물선택 및 약물치료의 기간 김병광 2018.01.12 2119
313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 Ⅱ. 불안증 - 3. 불안장애의 치료2) 약물요법 김병광 2018.01.11 2216
312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 Ⅱ. 불안증 - 3. 불안장애의 치료 1) 비 약물요법 김병광 2018.01.09 1996
311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 Ⅱ. 불안증 - 2. 본론 2) 주요불안증의 임상양상 김병광 2018.01.05 2017
310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 Ⅱ. 불안증 - 2. 본론 2) 주요불안증의 임상양상 김병광 2018.01.08 2050
309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 Ⅱ. 불안증 - 2. 본론 1) 불안증의 선별 김병광 2018.01.05 2010
308 심뇌혈관질환 심뇌혈관질환 1차예방 가이드라인. 사회심리학적 원인 Ⅱ. 불안증 - 1. 서론 김병광 2017.12.08 2030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