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Ⅰ. 당뇨병의 총론

 1. 당뇨병의 분류

분류

분류기준

제1형 당뇨병¹

췌장 베타세포 파괴에 의한 인슐린 결핍으로 발생한 당뇨병

  ① 면역 매개성

  ② 특발성

제2형 당뇨병²

인슐린 분비 및 작용의 결함에 의해 발생한 당뇨병

기타 당뇨병³

  ① 베타세포 기능의 유전적 결함

  ② 인슐린 작용의 유전적 결함

  ③ 췌장 외분비 기능장애

  ④ 내분비 질환

  ⑤ 간질환

  ⑥ 약물 유발

  ⑦ 감염

  ⑧ 드문 형태의 면역 매개 당뇨병

  ⑨ 당뇨병과 동반될 수 있는 기타 유전적 증후군

임신성당뇨병⁴

(임신 중 진단된 당뇨병)

 

   ☎ ¹ : 제1형 당뇨병은 인슐린을 분비하는 췌장의 베타세포가 서서히 파괴되어

           결국 인슐린 분비가 없어지는 질환입니다.

           자가면역질환의 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으며 이 경우 대부분 자가항체

           (anti-GAD 항체)가 양성으로 나타납니다.

           하지만 자가면역성을 증명할 수 없는 특발성의 경우 일반적으로 인슐린

           결핍이 비교적 서서히 진행되어 초기에는 제2형 당뇨병과 구분이 어려

           울 수도 있습니다.

           제1형 당뇨병은 전 연령에 걸쳐 발생하며 우리나라에서도 최근 발생률

           이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² : 제2형 당뇨병은 인슐린저항성(인슐린의 작용 감소)과 인슐린 의 분비량

           부족으로 초래되는 질환입니다.

           이 두 가지 병인은 모든 당뇨병환자들에게서 반드시 존재합니다.

           하지만 인슐린저항성이 좀 더 우세한 경우(예를 들면 비만증 동반)와

           인슐린 분비결핍(예를 들면 저체중인 경우)이 더 우세한 경우로 나누어

           지기도 합니다.

           복잡한 병인을 고려 하면 모든 환자들에게서 인슐린저항성과

           인슐린분비능을 같이 고려하면서 치료해야 장기적인 혈당관리 가

           가능 합니다.

      ³ : 기타 당뇨병 또는 이차성당뇨병은 어떤 특정한 원인에 의해 당뇨병

           상태로 진행하는 경우를 말하는데 대부분 당뇨병이 발생하기 쉬운

           유전적 또는 환경적(비만, 노화 등) 조건을 가진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따라서 원인이 해결되고 혈당이 개선되어도 차후 고혈당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이에 대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⁴: 임신성당뇨병은 임신 중에 발견된 당뇨병을 지칭하며 임신 기간은

           물론, 출산 후에도 장기적으로 당뇨병 발생을 예방하는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2. 당뇨병의 진단 기준

진단기준

당뇨병의 진단기준¹

  ① 공복혈당 ≥ 126 mg/dL

      (이 기준은 명백한 고혈당이 아니라면, 다른 날에 검사를 반복하여

       확인합니다.)

  ② 당뇨병의 전형적인 증상(다뇨, 다음, 설명되지 않는 체중감소)과

     임의 혈당 ≥ 200 mg/dL

  ③ 75 g 경구당부하검사 후 2시간 혈당 ≥ 200 mg/dL

  ④ 당화혈색소 ≥ 6.5%

당뇨병 전단계의 진단기준

  ① 정상혈당은 최소 8시간 이상 음식을 섭취하지 않은 상태에서

      ▶ 공복혈당 100 mg/dL 미만,

      ▶ 75 g 경구당부하 2시간 후 혈당 140 mg/dL 미만입니다.

  ② 공복혈당장애 진단기준은 공복혈당 100-125 mg/dL입니다.

  ③ 내당능장애 진단기준은 75 g 경구당부하 2시간 후 혈장혈당

     140-199 mg/dL 입니다.

   ☎ ¹: 세계에서 당뇨병 유병률이 가장 높은 민족들 중의 하나인 피마 인디안

          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공복혈당이 116 mg/dL 이상과 식후 2시간

          혈당 185 mg/dL 이상일 때 당뇨병성 망막증의 발생이 급격히 증가하였

          습니다.

          이 연구와 연계하여 고혈당으로 인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는 기준을

          당뇨병 진단기준으로 확정하였습니다.

          공복혈당 126 mg/dL에 해당하는 식후 2시간 혈당 평균이 200 mg/dL

          이며, 이런 정도의 혈당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경우 당화혈색소치

          6.5%에 해당하게 됩니다.


3. 임신성당뇨병의 진단기준

권고 적용군 (Population)

  모든 산모

진료환경 (Healthcare setting)

외래

중재/실행지표 (Intervention)

  혈당검사, 경구당부하검사

비교지표 (Comparator)

  혈당검사, 경구당부하검사 미 시행

결과물 (Outcome)

  주산기 합병증(태아 및 산모)

 


                                      권고내용

선별검사

  • 모든 산모를 대상으로 첫 산전 방문 시 기왕의 당뇨병 여부에 대한 검사

    (공복혈당, 무작위 혈당 혹은 당화혈색소 측정)를 시행하도록 권고합니다.

  • 이전에 당뇨병이나 임신성당뇨병¹ 으로 진단받지 않은 산모인 경우

    임신 24-28주에 2시간 75 g 경구당부하검사 시행을 고려합니다.

    (1단계 접근법, one step approach).

  • 기존의 2단계 접근법(two step approach)을 이용할 경우는  50 g 당부하

    1시간 후 혈당 140 mg/dL 이상

    (고위험 산모의 경우 130 mg/dL)이면 선별검사 양성으로 판정하여

     100 g 경구당부하검사 시행을 고려합니다.

진단기준

  • 첫 번째 산전 방문 검사 시 당뇨병의 일반 진단기준을 적용합니다.

  • 임신 24-28주 사이에 시행한 75 g 경구당부하검사에서 다음 중 하나

    이상을 만족하는 경우 임신성당뇨병으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① 공복혈당 ≥ 92 mg/dL

      ② 당부하 1시간 후 혈당 ≥ 180 mg/dL

      ③ 당부하 2시간 후 혈당 ≥ 153 mg/dL

  • 기존의 2단계 접근법으로 100 g 경구당부하검사를 시행한 경우는 다음

    기준 중 두 가지 이상을 만족하는 경우 임신성당뇨병으로 진단할 수 있습

    니다.

      ① 공복혈당 ≥ 95 mg/dL

      ② 당부하 1시간 후 혈당 ≥ 180 mg/dL

      ③ 당부하 2시간 후 혈당 ≥ 155 mg/dL

      ④ 당부하 3시간 후 혈당 ≥ 140 mg/dL


  ☎ ¹ : 첫 산전 방문 시에 발견되는 당뇨병은 임신성당뇨병이 아닌 기왕의

          당뇨병으로 규정하였다.

          임신성당뇨병은 임신과 관련된 합병증으로 3-14%에서 발생하며,

          임신 중에 발생하는 가장 흔한 내과적 합병증의 하나입니다.

          임신성당뇨병은 임신성고혈압, 분만 시 손상, 난산, 산모의 당뇨병

          발생과 관련이 있고 거대아, 신생아 저혈당, 신생아 골절 및 신경손상

          등 주산기 합병증 등을 유발하며 장기적으로는 자녀의 비만과 당뇨병의

          위험을 증가시킨다고 알려져 왔습니다.

          임신성당뇨병을 진단하고 치료함으로 주산기 이환율이 감소됩니다.

             


                                                                                      - 대한의학회 -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47 당뇨병 2014년 당뇨병 관리지침서(환자용) - Ⅳ. 자가관리 실천하기: 1 김병광 2015.07.22 5919
246 당뇨병 2014년 당뇨병 관리지침서(환자용) - Ⅳ. 자가관리 실천하기: 2 김병광 2015.07.23 6064
245 당뇨병 2014년 당뇨병 관리지침서(환자용) - Ⅳ. 자가관리 실천하기: 3 김병광 2015.07.23 5439
244 당뇨병 2014년 당뇨병 관리지침서(환자용) - Ⅳ. 자가관리 실천하기: 4 김병광 2015.07.23 5491
243 당뇨병 2014년 당뇨병 관리지침서(환자용) - Ⅳ. 자가관리 실천하기: 5 김병광 2015.07.23 5442
242 당뇨병 2014년 당뇨병 관리지침서(환자용) - Ⅳ. 자가관리 실천하기: 6 김병광 2015.07.24 6065
241 당뇨병 2014년 당뇨병 관리지침서(환자용) - Ⅴ. 응급상황 판단하고 대처하기 김병광 2015.07.24 5936
»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Ⅰ. 당뇨병의 총론: 당뇨병의 분류 및 진단기준 김병광 2015.07.25 6188
239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Ⅰ. 당뇨병의 총론: 대사증후군의 진단기준 3 김병광 2015.07.25 7267
238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Ⅰ. 당뇨병의 총론: 당뇨병의 선별검사 및 예방 김병광 2015.07.25 5759
237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Ⅱ. 당뇨병 관리: 혈당조절의 목표 김병광 2015.07.26 5969
236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Ⅱ. 당뇨병 관리: 혈당조절의 모니터링 및 평가 김병광 2015.07.26 5800
235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Ⅱ. 당뇨병 관리: 임상영양 요법 김병광 2015.07.26 6378
234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Ⅱ. 당뇨병 관리: 운동요법 김병광 2015.07.27 5988
233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Ⅱ. 당뇨병 관리: 당뇨병 치료제 김병광 2015.07.27 5620
232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Ⅱ. 당뇨병 관리: 백신 접종 김병광 2015.07.27 5841
231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Ⅱ. 당뇨병 관리: 당뇨병 자가관리 교육 김병광 2015.07.27 5577
230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Ⅱ. 당뇨병 관리: 저혈당 관리 김병광 2015.07.27 6614
229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Ⅱ. 당뇨병 관리: 당뇨병환자의 이상지질혈증 김병광 2015.07.28 6199
228 당뇨병 2019년 당뇨병 임상진료지침(의료용) - Ⅱ. 당뇨병 관리: 당뇨병환자의 고혈압 김병광 2015.07.28 5757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