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혈압

2019년 고혈압 임상진료지침(일차 의료용) - Ⅵ. 고혈압의 약물요법: 3

by 김병광 posted Jul 13, 201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Ⅵ. 고혈압의 약물요법

 6. 기타 약물치료

  1) 항혈소판 요법

     ① 고혈압 환자에서 심혈관질환 발생 이후에 항혈소판제제를

        이차 예방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권고합니다.

     ② 신장(콩팥) 기능이 저하되어 있거나, 당뇨병이 동반된 경우,

        표적장기 손상이 동반되었거나, 심혈관질환의 주요 위험 요인이 3개 이상

        인 고위험 고혈압 환자에게 심혈관질환 위험을 줄이기 위해 저용량

        아스피린(100 mg) 등의 항혈소판제제 투여를 고려해야 합니다.

     ③ 항혈소판제는 혈압이 조절된 후 투여해야 하고, 위장 등 장기출혈

        여부를 수시로 확인할 것을 권고합니다.

    

  2) 지질 강하제 투여

     ① 신장기능이 저하되어 있거나, 당뇨병이 동반된 경우, 표적장기 손상이

        동반되었거나, 심혈관질환의 주요 위험요인이 3개 이상인

        고위험 고혈압 환자에게 지질강하제 처방을 권고합니다.

     ② 지질강하제의 치료는 혈중 저밀도지단백(LDL) 농도를 기준으로 하는

        것을 권고합니다.

     ③ 심혈관질환이 없는 고혈압 환자에서는 LDL-콜레스테롤이 130 mg/dL 미만

        으로 유지하는 것을 권고합니다.

     ④ 관상동맥질환을 동반한 고혈압 환자에서는 LDL-콜레스테롤을 70 mg/dL

        미만으로 낮추는 것을 권고합니다.

  3) 혈당 조절

     ① 당뇨병 환자에서 미세혈관합병증 및 대혈관합병증의 발생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적극적인 혈당조절을 권고합니다.

     ② 혈당 조절의 이상적 목표는 당화혈색소 6.5% 이하이지만,

        환자의 상황에 따라 개별화해야 합니다.

        즉 환자의 나이, 당뇨병 유병기간, 잔여 예측 수명, 당뇨병 합병증의

        진행정도, 동반질환, 저혈당 발생빈도, 환자 순응도 등을 고려하여

        조절 목표를 완화할 수 있습니다.

  4) 진료 시 고려할 점 혹은 특수상황에서의 권고 사용법

          • 고혈압 환자에서 심혈관질환의 일차예방을 위해서 항혈소판제를 사용하는 것은

             근거가 부족하고 출혈의 위험도는 증가하여 권고하지 않으나 이차예방을 위한

             경우에는 반드시 혈압이 조절된 후 투약합다.

          •  스타틴 투여 중 그에따른 부작용 특히 근병증 위험성을 고려합니다.

          •  과거 추적관찰연구에 따르면 당뇨병초기의 엄격한 혈당관리의 효과가 장기간

             에 걸쳐 나타난 결과가 있어서 당뇨병 초기의 엄격한 혈당관리가 중요합니다.

          •  혈당 조절을 할 때 환자의 나이, 당뇨병유병기간, 잔여 예측수명, 당뇨병 합병증

              의 진행정도, 동반질환, 저혈당 발생빈도, 환자 순응도 등을 고려하여 조절목표

              를 개별화합니다.

          •  고혈압 환자에서는 반드시 장기적으로 심혈관위험인자에 관한 검사를 시행하

              여 적절히 치료합니다.


 ☎ - 급성 심근경색증이 있는 환자들에서 아스피린의 사용은 심혈관질환에

      의한 사망률을 23% 감소시켜주며 급성 뇌경색증이 있는 환자들에서 아스피린

      의 투약은 뇌졸중의 재발을 30% 감소시켜줍니다.

      따라서 이미 심뇌혈관질환의 병력이 있는 고혈압 환자들에서는 금기가 없는

      이상 아스피린 또는 그에 상응하는 항혈소판제제의 사용을 권고합니다.

    - 이차예방과는 달리 일차예방을 목적으로 항혈소판제제를 사용하는 것은

      근거가 명확하지 않습니다.

      아스피린은 사망하지 않은 심근경색증과 모든 심혈관 질환의 발생률을 각각

      23%, 18% 감소시켰지만 뇌경색증의 발생위험은 감소시켜 주지 못했고

      관상동맥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을 감소시켜주지 못한 반면 뇌출혈의 빈도가

      32%, 뇌 이외 주요 장기의 출혈 위험을 54% 증가시킴니다.

      따라서 아스피린의 일차예방은 출혈의 위험에 비해 심혈관질환의 예방효과

      클 것으로 판단되는 만성신장질환, 당뇨병, 표적장기 손상 및 주요위험 요인

      이 3개 이상 동반된, 심혈관질환의 위험이 높은 고혈압 환자들에서는 사용을

      고려해 볼 수 있으나 저위험군이나 중등도 위험군에서는 사용을 권고하지 않

      습니다.

   

 ☎ - 제1형 당뇨병을 대상으로 한 전향적인 연구인 DCCT 와 제2형 당뇨병을 대상

      으로 한 UKPDS 연구에서

      적극적인 혈당조절은 미세혈관합병증(망막병증, 신증, 신경병증)과 대혈관

      합병증의 발생 및 진행을 낮춘다고 보고하였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당화혈색소가 7.0% 미만을 혈당조절의 목표로 삼고 있으며

      6.5%를 이상적인 조절 목표로 보고 있습니다.

    - DCCT와 UKPDS 연구의 9~10년 추적 관찰 연구를 보면, 당뇨병 초기의 엄격한

      혈당 관리의 효과가 장기간에 걸쳐 효과를 나타낸 결과로 해석되며 당뇨병

      초기의 엄격 한 혈당 관리의 중요성을 보여줍니다.

    - 한편 유병기간이 비교적 긴 제2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한 ACCORD,

      ADVANCE, VADT 연구에서 집중치료군 심혈관질환 예방효과가 없었으며,

      ACCORD 연구에서는 오히려 당화혈색소를 6% 이하로 조절한 집중 치료군에서

      일반적인 치료군에 비해 사망률이 22% 증가하는 결과를 보여 주어 환자의 나

      이, 당뇨병 유병기간, 잔여 예측수명, 당뇨병 합병증의 진행정도, 동반질환

      저혈당 발생빈도, 환자 순응도 등을 고려하여 조절 목표를 개별화하도록 하

      고 있습니다.


                                                                                         - 대한의학회 -


Articles

9 10 11 12 13 14 15 16 17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