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529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Ⅴ. 고혈압의 합병증

 2. 뇌졸중

뇌졸중

(중풍)

뇌졸중은 고혈압의 합병증 중에 한국인에게 가장 많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뇌졸중에는 뇌혈관이 터져서 발생

하는 뇌출혈과 같은 출혈성 혈관질환과

뇌혈관이 막혀서 발생하는 뇌경색이 있으며 고혈압이 가장 큰 위험요인 입니다.

고혈압 환자는 정상인에 비해 7배 정도 더 많이 발생합니다.

뇌졸중의 증상은 갑자기 발생하는 반신마비, 언어장애

발음장애, 어지럼증, 두통, 의식장애 등이 있으면

상망에 이를 수 있습니다.

혈압 110/75 mmHg 이상부터 뇌졸중 위험률이 서서히 증가

합니다.

고혈압 환자에서 혈압이 5-6 mmHg 감소할 때마다 35-40%

정도 뇌졸중으로 인한 사망 위험이 감소합니다.

뇌는 한 번 손상되면 재생되지 않는 장기이기 때문에

뇌졸중으로 뇌의 일부가 손상되고 이로 인해 기능장애가

발생하면 회복이 어려운 경우가 많으므로 적극적인 고혈압 치료로 뇌졸중을 예방하여야 합니다.



3. 고혈압성 망막증

고혈압성

망막증

눈에 발생하는 합병증은 고혈압성 망막증이 있습니다.

고혈압으로 혈압이 계속 높아지면, 망막의 모세혈관을

이루고 있는 근육과 내피세포가 손상되어 혈관에 경화

현상이 나타나고 압력을 견디지 못하여 출혈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망막증이 발생하면 망막의 기능이 상실되어 시력이

떨어지고 결국은 실명하게되는 무서운 합병증입니다.

안압이 높아지면서 시신경에 손상을 입히는 질환으로

녹내장이 있으며 실명의 주요 원인 중에 하나이며 정상인에 비해 고혈압 환자에서 50% 이상 많이 발생합니다.

 


4. 만성 콩팥병

만성

콩팥병

신장은 우리 몸에서 대사과정 중에 발생한 여러 가지 노폐물을 걸러주며, 수분과 전해질 조절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장기입니다. 또한 신장질환도 고혈압을 일으킬 수 있어서 고혈압과 신장질환은 밀접한 관련성이 있습니다.

신장이 기능을 잃고 회복되지 않게 되면 노폐물의 제거를 위해 투석을 하여야 하며 근본적인 해결을 위해서는 신장 이식이 필요하게 됩니다.

혈압이 높을수록 고혈압성 신부전의 발생률이 늘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적절한 혈압 조절이 신부전으로의

진행을 감소시킵니다.

 

5. 치매

고혈압은 치매를 일으키는 혈관성 인지기능 장애와  알츠하이머 병의

위험인자 중 하나입니다.

고혈압 환자는 정상인에 비해 알츠하이머 병의 발생 위험이 두 배

가량 높습니다.

고혈압이 오랜 기간 동안 지속되면 작은 혈관들이 손상되고 뇌 실질의 위축을

유발하게 되어 인지기능 장애가 발생하게 됩니다. 

 혈압을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치매 발생의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 대한의학회, 진병관리본부-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문서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7 당뇨병 20. 항혈소판제는 모든환자가 복용해야하나 21. 당뇨병환자에서 금연 김병광 2011.10.01 21372
46 당뇨병 19. 당뇨병환자에서 고혈압관리는? 김병광 2011.09.29 18899
45 당뇨병 18. 당뇨병 환자에서 이상지혈증관리는? 김병광 2011.09.27 20538
44 당뇨병 17. 당뇨환자의 심혈관 위험인자 평가 김병광 2011.09.26 19180
43 당뇨병 16. 당뇨병환자의 특별한 상황에서의 관리(아픈 날, 여행 등) 6 김병광 2011.09.24 17703
42 당뇨병 15. 저혈당 관리 3 김병광 2011.09.23 22292
41 당뇨병 13. 자기관리교육 14. 당뇨병환자에서 백신접종은? 김병광 2011.09.22 18380
40 당뇨병 12. 당뇨병 치료제 - 인슈린 (언제 인슈린요법을 시행하여야 하나?) 김병광 2011.09.20 19733
39 당뇨병 11. 당뇨병 치료제 - 경구약제 김병광 2011.09.17 17697
38 당뇨병 10. 당뇨환자에서 운동요법 김병광 2011.09.16 17341
37 당뇨병 9. 당뇨병환자의 임상영양요법 김병광 2011.09.15 17855
36 당뇨병 7. 혈당조절 목표 8. 혈당조절의 모니터링 및 평가 5 김병광 2011.09.09 20489
35 당뇨병 5. 당뇨병의 예방 6. 대사증후군의 진단기준 김병광 2011.09.08 18432
34 당뇨병 4. 당뇨병의 분류 김병광 2011.09.08 21130
33 당뇨병 2. 당뇨병의 진단기준 3. 임신성당뇨병의 진단기준 김병광 2011.09.02 24511
32 당뇨병 1. 당뇨병 선별검사 김병광 2011.09.01 22348
31 기타 난치성 아토피피부염 환자 및 보호자에 대한 권고안(2011년 8월12일) 김병광 2011.08.27 22745
30 기타 헬리코박터 필로리에 감염된 사람은 모두 치료해야 하나? 김병광 2011.07.21 23092
29 당뇨병 당뇨전단계 - 2 김병광 2011.07.07 18109
28 당뇨병 당뇨전단계 - 1 김병광 2011.07.06 18748
Board Pagination Prev 1 ...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Next
/ 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