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622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Ⅲ. 종교개혁기의 구원서정 교리

   1. 마틴 루터의 구원서정론

      종교개혁의 3대 표어 중 하나인 이신득의(以信得義)를 제창한

      루터는 언제나

      “구원의 유일한 원천은 하나님”이라고 강조하였습니다.

      루터는 구원교리를 오직은혜(Sola Gratia)로 말미암은 것이라

      주장하였습니다.

      루터파는 “당신은 은혜로 말미암아 믿음으로 구원받았고 당신

      자신으로 말미암아 믿음으로 구원받은 것이 아니다.

      구원은 하나님의 선물이요 행위로 말미암은 것이 아니다.”라고

      주장하였습니다.

      루터는 뚜렷한 구원서정을 제시하지 않았지만 신앙으로 의롭다함을

      받는다는 교리를 강조함으로써 당시의 로마교회 구원관으로부터

      획기적인 전환점을 마련한 것이 그의 공헌이라 할 수 있습니다.

 

  2. 요한 칼빈의 구원서정론

    1) 내용

       칼빈은 구원서정론을 구성하는 개념들을 배열하는 일에 착수한

       최초의 사람이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기독교 강요”에 있는 구원서정을 요약하면

        ① 신앙과 소명 ② 중생(회심, 성화, 신앙적 투쟁을 포함)

        ③ 칭의        ④ 예정 ⑤ 부활이 됩니다.

    2) 문제점

       칼빈은 구원의 혜택이 우리 인간에게 적용되는 문제점을 다룸에

       있어서 논리성이 없고 안정되지 못한 것처럼 보입니다.

       - 훅스마(Herman Hoeksema) - 칼빈은 하나님의 역사가 인간의

         잠재의식 속에서 일으키는 변화와 의식 가운데 일으키는 변화로

         구분할 수 있음을 인식하지 못했기 때문에 모든 순서를 의식의

         차원에서만 다루었다.

         또한 모든 순서를 다룸에 있어서 하나님이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를 위하여 이루신 객관적 사역과 성령을 통하여 우리 안에서

         이루시는 주관적 사역을 충분히 구분하여 때문이 때문에 성화가

         칭의보다 앞서는 순서가 되었다라고 하였습니다.

       - 카이퍼(Abraham Kuyper) -“칼빈의 구원서정론은 하나님의

         역사보다 인간의 활동면에 치중하여 주관적인 경향을 면치

         못하였다.”고 논평하였습니다.

       - 발카워(Berkower) - 칼빈은 구원서정을 논함에 있어서 그의

         관심을 오로지 하나님의 구원 사역에 치중하고 신앙하는

         사람에게 두지 않았습니다.

         칼빈은 성령을 통해서만 구원의 약속이 우리의 마음속에 들어올

         수 있다고 하였고 성령은 천국의 보화를 우리에게 열어주는 열쇠

         라고 할 수 있습니다.

         신앙은 성령이 우리 안에 역사하는 현상이라는 입장이 칼빈의

         구원서정 전반에 걸쳐 일관된 원리입니다.

         그는 먼저 은혜의 주관성을 주장들을 거론하고 정리한 후에야

         그리스도인의 생활이라는 주제를 다루었다고 논평하였습니다.

                                                     

                                                                        출처: 교의신학. 하문호


의료보건팀 사랑방

온천교회 의료보건팀 사랑방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4 믿음방 교의신학 2권 신론 - 하나님의 존재: 하나님의 속성 1 김병광 2013.12.23 13643
123 믿음방 교의신학 7권 내세론: 개인적 내세론 - 중간기 상태 김병광 2014.08.22 12527
122 믿음방 교의신학 3권 인간론 - 일반적 고찰: 인간영혼의 기원 김병광 2014.01.09 11394
121 믿음방 교의신학 6권 교회론: 은혜의 수단 - 은혜의 수단으로서의 말씀 김병광 2014.07.16 10912
120 믿음방 교의신학 2권 신론 - 하나님의 존재: 하나님의 속성 2 김병광 2013.12.23 10872
119 믿음방 교의신학 7권 내세론: 일반적 내세론 - 천년왕국론 김병광 2014.08.30 10616
118 믿음방 교의신학 2권 신론 - 하나님의 사역: 하나님의 계획 - 작정 김병광 2013.12.27 10442
117 믿음방 교의신학 2권 신론 - 하나님의 사역: 하나님의 섭리 - 섭리의 요소들과 섭리의 종류 김병광 2014.01.02 10388
116 믿음방 교의신학 7권 내세론: 예비적 고찰 - 내세론의 개념 김병광 2014.08.12 10365
115 믿음방 교의신학 3권 인간론 - 범죄 후의 인간 상태: 죄의 개념 김병광 2014.01.13 10111
114 믿음방 교의신학 3권 인간론 - 은혜언약 하의 인간: 은혜언약 김병광 2014.01.22 10085
113 믿음방 교의신학 4권 기독론 - 그리스도의 존재: 그리스도의 인격의 단일성 김병광 2014.02.05 9980
112 믿음방 교의신학 3권 인간론 - 은혜언약 하의 인간: 구속언약 김병광 2014.01.21 9816
111 믿음방 교의신학 6권 교회론: 은혜의 수단 - 은혜의 수단으로서의 성례: 성찬 김병광 2014.07.19 9742
110 믿음방 교의신학 7권 내세론: 예비적 고찰 - 내세론 연구의 의의와 방법 김병광 2014.08.13 9628
109 믿음방 교의신학 6권 교회론: 은혜의 수단 - 은혜의 수단으로서의 성례: 성례개관 김병광 2014.07.17 9417
108 믿음방 교의신학 6권 교회론: 은혜의 수단 - 은혜의 수단으로서의 성례: 세례 김병광 2014.07.18 9322
107 믿음방 교의신학 2권 신론 - 서론: 하나님은 존재하는가? 김병광 2013.12.20 9048
106 믿음방 교의신학 2권 신론. 정리 김병광 2014.01.03 9041
105 믿음방 교의신학 1권 서론. 성경 - 성경의 영감 2 김병광 2013.12.12 8993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Next
/ 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