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상황별 고혈압 치료
8) 뇌혈관 질환과 고혈압
허혈성 및 출혈성 뇌졸중의 위험은 혈압이 높을수록 증가하며,
위험인자 중 가장 흔하며, 고혈압의 치료 특히 수축기 혈압의 치료는
뇌졸중 발병이 현저히 감소시킴니다.
이를 위해 생활요법(체중감량, 저지방식, 소금섭취 감소, 운동, 절주,
금연 등) 을 먼저 시행하여야 하며, 필요 시 약물요법을 병행합니다.
① 혈압이 115/75mmHg보다 수축기 20mmHg, 확장기 10mmHg 증가할
때마다 뇌졸중의 사망률이 2배 증가하며,
수축기 10mmHg, 이완기 5mmHg 낮추면 뇌졸중으로 인한 사망률이
40% 감소합니다.
② 임상연구의 에타분석 결과 약물치료로 혈압을 10/5mmHg 감소시키
면 뇌졸중의 예방효과는 30-40%에 달합니다.
③ 뇌졸중의 일차예방 목적으로 혈압은 140/90mmHg 미만으로
조절하도록 권고합니다.
④ 뇌졸중의 예방을 위한 약제는 칼슘길항제, ACE억제제나
안지오텐신차단제가 베타차단제보다 우수하다고 합니다.
⑤ 그러나 뇌졸중의 일차예방을 위하여 특정한 종류의 고혈압의
선택보다는 적절히 혈압을 떨어뜨리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⑴ 급성기 허혈성 뇌졸중에서 혈압 관리
급성기의 허혈성 뇌졸중에서는 보통 혈압이 상승합니다.
① 그러나 급성기 1주일 동안 적극적인 치료는 오히려 뇌경색부위의
관류를 감소시켜 오히려 뇌경색 부위를 확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적극적 혈압치료는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② 초급성 허혈성 뇌졸중에서 혈전용해 요법을 시행할 경우,
목표혈압을 185/110mmHg 이하로 낮추어야 합니다.
tPA로 혈전용해제를 시행할 경우에는 약물 투여하기 전 혈압을
185/110mmHg 이하로 낮춥니다.
약은 정맥혈압 강하제인 labetalol, nicardipine, diltiazem,
nitroglycerin, nitroprusside를 추천합니다.
③ 수축기 혈압이 220mmHg이상이거나 확장기 혈압이 120mmHg이상인
경우 고혈압약을 사용하도록 추천되지만 목표혈압은 수축기 혈압을
기준으로 80-90%로 합니다.
그러나 고혈압성 뇌병증, 대동맥박리, 급성신부전, 급성폐부종,
급성심근경색의 경우에는 고혈압으로 인한 합병증리 우려되므로
적절한 혈압강하가 필요합니다.
⑵ 급성기 뇌실질내출혈에서 혈압관리
① 수축기 혈압이 200mmHg 이상이거나 평균혈압이 150mmHg 이상이면
5분 간격으로 혈압을 측정하여 조절합니다.
② 수축기 혈압이 180mmHg이상이거나 평균혈압이 130mmHg이상이면서
뇌압상승소견이 동반된 경우는 뇌압감시 장치를 통하여 뇌관류압을
60-80mmHg로 유지하면서 혈압을 강하시킵니다.
③ 수축기혈압이 180mmHg 이상이거나 평균혈압이 130mmHg이상이면서
뇌압상승의 소견이 없으면 15분간격으로 혈압을 평가하면서
이전혈압의 80% 또는 평균혈압 110mmHg, 혈압 160/90mmHg까지
혈압을 강하시킵니다.
④ 약은 정맥혈압 강하제인 labetalol, nicardipine, diltiazem,
nitroglycerin, nitroprusside를 추천합니다.
⑶ 이차예방
고혈압의 과거력 유무에 상관없이 뇌졸중 이후의 고혈압 치료는
사망률과 합병증을 감소시키며, 약물치료와 함께 생활요법을 고혈압
치료에 포함해야 합니다.
약 선택은 환자의 상태(두개강외 폐색성 뇌혈관질환, 뇌혈관장애,
콩팥질환, 심장질환, 당뇨병)를 고려해야 개별화하여야 하고,
ACE제제와 이뇨제의 병용투여가 추천됩니다.
9) 대동맥질환에서 고혈압 치료
대동맥류 환자는 강력하게 혈압을 조절하여야 하며 적을 할 수 있는
최대한 혈압을 낮추어야 합니다.
베타차단제는 혈압을 낮추는 것 외에도 죄심실의 최대 분출률을
낮추기 때문에 포함하는 것이 좋습니다.
대동맥박리를 포함한 급성대동맥증후군에서도 베타차단제를 포함한
병용치료로 강력하게 혈압과 맥박을 조절해야 합니다.
출처. 2013년 대한고혈압학회 진료지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