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화기질환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의 진단과 치료 가이드라인 - 2

by 김병광 posted Jan 21, 201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3.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의 치료대상 및 치료 방법

  1) 치료대상

     ⑴ 헬리코박터에 감염된 소화성궤양 환자

        헬리코박터를 제균하지 않으면 십이지장궤양 재발률은 60-100%로

        높지만 제균하면 5% 이내로 감소됩니다..

     ⑵ 변연부 B세포 림프종(MALT type)

        위에서 발생하는 림프종의 92-100%에서 헬리코박터가 발견되고

        MALT type의 초기병기에는 제균 후에 소실되므로 악성세포가

        위점막과 점막하층에 국한된 경우에는 약물요법으로 치료하는 것이

        인정됩니다.

     ⑶ 조기 위암

        헬리코박터에 감염되면 위암발생이 3.8배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조기위암의 내시경 절제 후 제균하였던경우가 제균하지 않았을

        때보다 현저히 낮아진다고 보고가 있습니다.

        장형 및 미만형 위암도 헬리코박터 감염과 관련이 있으며 전정부와

        체부에 위치한 위선암종 모두 헬리코박터 감염과 관계가 있으나

        분문부 위암의 발생과는 관계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⑷ 위암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

        위암 가족력이 있는 경우 위암발생률이 3배 증가하고

        위암 직계가족에서 헬리코박터에 감엽된 경우 위암발생률이 5.3배

        증가 하므로 헬리코박터 감염치료가 추천됩니다.

     ⑸ 조직검사에서 위축 위염이 있거나 장상피화생이 있는 경우

        위축위염과 장상피화생은 위암 전구병변 혹은 전고 현상으로 간주

        됩니다.

        위축위염과 장상피화생이 있는 경우 헬리코박터 제균에 의해 위축

        위염이 좋아지는 경우가 자주 있지만 장상피화생은 좋아지는 것이

        증명되지 않았고 또한 위축위염이나 장상피화생이 있는 경우 제균

        으로 위암이 감소된다는 증거가 부족하므로 좀더 연구가 필요할 것

        으로 생각됩니다.

     ⑹ 헬리코박터 양성 소화불량증 환자

        소아의 반복복통, 재발소화불량증, 난치 소화불량증,

        소화성궤양의 과거력이 있는 경우, 심한 위염이 있는 경우에는

        제균요법을 시행할 수 있으나 좀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됩니

        다.

     ⑺ 장기간 비스테로이드소염제를 복용해야 하는 환자

        비스테로이드소염제 복용시 헬리코박터를 제균시킨 환자에서

        웨양의 발생률을 18.8%를 줄일 수 있다고 합니다.

        그러므로 위궤양의 고위험환자 즉 소화성궤양의 과거력, 65세 이상

        의 고령, 고용량비스테로이드소염제, 스테로이드 사용, 항응고제

        사용, 아스피린을 포함한 비스테로이드소염제의 중복사용자에서는

        헬리코박터 감염을 진단을 하여야 하고 감염이 되면 치료를 시행하

        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나 위궤양 위험인자가 없는 환자에서 비스테로이드를 사용 할

        경우 헬리코박터 감염의 진단이나 치료는 권유되지 않습니다.

     ⑻ 헬리코박터에 감염된 환자의 배우자나 자녀

        우리나라에서 연 재감염률이 2.94%로 떨어지고 있어

        제균치료 성공 후 남은 가족들에게 헬리코박터를 검사하여

        양성인 경우 제균하는 것은 다소 근거가 적습니다.

     ⑼ 역류 식도질환으로 장기간 PPI요법을 해야 하는 경우

        PPI를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 위축위염 및 장상피화의 발생이 증가

        된다는 보고가 있지만 미국 식품 의약청에서는 장기간의 PPI사용이

        위축위염이나 장상피화생 및 위암의 발생률을 증가시킨다는 명백한

        증거가 아직 없다고 하였으며

        국내에서는 아직 이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 있지 않으므로 아직

        PPI 장기간 사용한 역류성 식도질환 환자에게 제균 치료 대상에

        포하시키기는 어렵습니다.

     ⑽ 설명되지 않는 철분 결핍빈혈

        철분투여에도 호전이 되지 않는 철분결핍빈혈에서 제균하면

        빈혈치료에 효과적일 수 있기 때문에 이 경우에는 제균이 추천되고

        있습니다.

     ⑾ 만성 특발 혈소판 감소증

        헬리코박터 제균 후 만성특발성 혈소판 감소증이 호전되는 것이

        보고 되었으므로 추천됩니다.

     ⑿ 헬리코박터 치료를 원하는 사람

        위암 예방을 목적으로 제균을 원하는 경우 환자의 권리 측면에서

        제균을 해주는 것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2) 치료 방법

     ⑴ 1차 치료

        3제요법으로 PPI, clarithromycin, amoxicillin 을

        1-2주 투여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⑵ 1차 치료에 실패한 경우 2차 치료

        PPI, metronidazole, bismus, tetracycline 의 4제 요법을

        1-2주 투여가 권장됩니다.

     ⑶ 1,2차 치료에 실패한 경우의 3차 치료제

        PPI, levofloxacin, amoxicillin의 3제요법을 7-10일 사용하는

        방법이 있으나 제균률이 73-74%로 낮고

        PPI, moxifloxacin, amoxicillin의 3제요법은 90%정도로 효과도

        좋으나 moxifloxacin현재 호흡기나 이비인후과 질환에서 많이 사용

        하므로 내성률이 높아져 제균효과가 떨어지고 있다는 것이 문제점

        입니다.

        PPI, rifabutin, amoxicillin의 3제요법이 있으나 ,rifabutin은

        가격이 비싸고 백혈구나 혈소판감소증과 같은 골수에 부작용이

        보고된 바있고 결핵균에 대한 내성 출현의 가능성 때문에 여러번의

        제균치료에 실패한 경우에 한하여 구제요법으로 시도되야 합니다.

 

4. 결론

   헬리코박터 제균 대상은

   ⑴ 반혼을 포함한 소화성 궤양    ⑵ 변연부 B세포 림프종(MALT type)

   ⑶ 조기위암환자                ⑷ 위암직계가족

   ⑸ 설명 되지 않은 철결핍 빈혈

   ⑹ 만성특발 혈소판 감소증이 제균 치료에 추천됩니다.

 

   치료방법은 1차 치료로

     PPI, clarithromycin, amoxicillin의 3제요법으로 1-2주 사용이

     추천되며

   이에 실패한 경우 PPI, metronidazole, bismus, tetracycline 의

     4제 요법을 1-2주 투여가 추천 됩니다.

 

                

                                                 출처: 대한소화기학회지; 제54권 제5호, 2009